본문 바로가기
건설안전

건설안전기사 한번에 따기 ② [와이어로프, 지게차, 컨베이어]

by 노하우 SPACE 2024. 2. 22.
728x90
728x90

이번 글에서는 건설안전기사 실기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와이어로프, 지게차, 컨베이어 항목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실기시험에 빈출되는 내용을 요약하였다.

실기시험 합격을 위해서는 와이어로프, 지게차, 컨베이어 등 각 항목의 4~5가지 점검사항을 외워야 한다.

특히 관련 수치는 실기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므로 이번 글에서 나오는 숫자는 필수적으로 외워두도록 한다.

와이어로프, 지게차, 컨베이어 각 항목의 점검사항, 준수사항, 법적규제 등을 아래에서 확인해보자.

 

1. 와이어로프 (안전계수, 직경별 클립 수, 사용제한 조건, 조치사항 등)

 ⓐ 와이어로프 안전계수

  - 달기구 절단하중의 값을 그 달기구에 걸리는 하중의 최대값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와이어로프 안전계수 = 달기구 절단하중 / 하중 최대)

 

  - 사업주는 달기구 안전계수가 아래 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 사용해서는 안된다.

근로자가 탑승하는 운반구를 지지하는 달기와이어로프 또는 달기체인 10 이상
화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달기와이어로프 또는 달기체인 5 이상
훅, 샤클, 클램프, 리프팅 빔 3 이상
그 밖의 경우 4 이상

 

 ⓑ  달비계 적재하중 안전계수

달기와이어로프 및 달기강선 안전계수 10 이상
달기체인 및 달기훅의 안전계수 5 이상
달기강대, 달비계 하부 및 상부지점 안전계수 - 목재 5 이상
달기강대, 달비계 하부 및 상부지점 안전계수 - 강재 2.5 이상

 

 

 ⓒ 와이어로프 직경별 클립 수 및 클립 간격

와이어로프 직경(mm) 클립 수(개) 클립 간격(mm) U볼트(mm)
38 8 250 22
36 7 230 22
32 6 200 22
28 5 180 18
24 5 150 18
22 5 130 16
18 5 110 16
9~16 4 80 9, 5-14

 

 ⓓ 와이어로프 사용제한 조건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규칙 제63조 준용, 사용하면 안됨)

  1) 이음매가 있는 것

  2)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10% 이상인 것

  3) 지름 감소가 공칭지름 7%를 초과하는 것

  예시) 20mm의 와이어로프 지름이 실제 18mm인 경우, 사용가능한가?
  답) 20*0.07=1.4  =>  20-1.4=18.6이므로 사용불가함.

 

  4) 꼬인 것

  5) 심하게 변형되거나 부식된 것

  6) 열과 전기충격에 의해 손상된 것

 

ⓔ 섬유로프 등을 화물자동차 짐걸이에 사용하는 경우, 해당작업 전 조치사항

  1) 작업순서와 순서별 작업방법을 결정하고 작업을 직접 지휘하는 일

  2) 기구와 공구를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하는 일

  3) 해당작업을 하는 장소에 관계근로자 외 출입을 금지하는 일

 

ⓕ 하역작업을 할 때 화물운반용 또는 고정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섬유로프

  1) 꼬임이 끊어진 것

  2) 심하게 손상 또는 부식된 것

 

 

 

2. 지게차(점검사항, 필수사항, 헤드가드 필수사항 등)

 ⓐ 지게차를 사용하는 작업 전 점검사항

  1) 바퀴의 이상 유무 확인

  2)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의 기능 이상 유무 확인

  3)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의 기능 이상 유무 확인

  4) 전조등, 후미등, 방향지시기기 및 경보장치 기능 이상 유무 확인

 

 ⓑ 지게차 필수 사항

  1) 전조등 및 후미등

  2) 헤드가드(head guard)

  3) 백레스트(back rest)

 

 ⓒ 지게차의 헤드가드(head guard) 필수사항

  1) 강도는 포크 리프트의 최대하중의 2배 값의 등분포하중에 견딜 수 있을 것

  2) 앉아서 조작하는 경우, 운전자 좌석 바닥 상면에서 헤드가드 상부 틀의 하면까지 거리 1m 이상

  3) 상부 프레임의 각 개구의 폭 또는 길이가 16cm 미만일 것

 

3. 컨베이어(점검사항, 안전조치 등)

 ⓐ 컨베이어 작업 전 점검사항

  1) 원동기 및 풀리(pulley) 기능의 이상 유무

  2) 이탈 등의 방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3)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4) 원동기, 회전축, 기어, 풀리(pulley) 등의 덮개 또는 울 등의 이상 유무

 

ⓑ 컨베이어 안전조치

  1) 청소 및 롤러 교체 등 작업 시에는 2인 1조로 실시한다.

  2) 작업 중 불시 가동을 막기 위해 중앙운전실과 연락체계를 유지하고 현장 스위치를 작업자가 관리한다.

  3) 벨트 컨베이어를 횡단할 경우 건널다리 등 안전한 통로를 이용한다.

  4) 가동 중인 벨트 컨베이어 드럼이나 캐리어, 리턴롤러 등에 손을 대지 않는다.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