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06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처벌 파헤치기 ① (시정명령 - 부실시공, 발주자 미통보, 하수급(하도급), 하자담보 미이행 등) 한국토지주택공사(LH)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사고와 관련하여 시행사와 감리 등에 대한 처벌 등이 이슈가 되고 있다. 시공사(건설사업자)가 시공사로서 해야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거나, 발주자의 지시를 이행하지 않음으로서 건설산업기본법을 위반했을 경우 처벌을 받을 수 있다. 건설산업법 위반에 의한 처벌은 위반사항의 중요도에 따라 시정명령, 영업정지, 건설업의 등록말소로 구분할 수 있다. 국토부장관은 건설사업자에게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 일정기간 시정을 명하거나 그 밖에 필요한 지시를 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시공사가 건설산업법 위반으로 시정명령을 받는 항목들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1. 시정명령 - 공사관리 관련 - 설계도서, 시방서 및 도급계약 내용 등에 따르지 않는 등 건설공사 부실시공 .. 2023. 8. 30.
주차장법 파헤치기 ③ (주차구획 기준, 부설주차장 구조·설비 기준, 지하식 부설주차장, 건축물식 부설주차장) 이전 주차장법 파헤치기 2개의 글에서 노상주차장, 노외주차장, 부설주차장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 전용주차구역 설치대상 및 설치대수를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주차장을 만드는 데 있어 필수로 알아야 하는 수치적 기준을 자세하게 확인하고자 한다. 주차장의 주차구획에 대한 기준을 먼저 살펴본 후, 부설주차장의 구조 및 설비 기준 등을 살펴보도록 한다. 1. 주차장의 주차구획 기준 주차장 주차구획의 크기는 평행주차냐 평행주차 이외냐에 따라 달라지며, 세부적으로는 경형인지, 일반인지, 확장형인지, 장애인전용인지에 따라서도 주차구획의 크기가 달라진다. 주차구획을 그리는 경우 흰색 실선으로 표시해야 하며, 경형자동차 전용주차구획은 파란색 실선으로 표시해야 한다. - 평행주차 먼저 평행.. 2023. 8. 30.
주차장법 파헤치기 ② (부설주차장 설치 대상, 장애인·경형·확장형·전기차(친환경자동차) 전용주차구역 설치대상 및 설치대수) 앞선 "주차장 파헤치기①" 글에서 살펴보았듯이 노상주차장은 공공이 설치·운영(위탁운영)하며 노외주차장은 공공 또는 민간이 설치하지만 필수사항이 아니다. 하지만 부설주차장의 경우 공공이든 민간이든 건축물, 시설물을 설치하는 경우 함께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노상·노외주차장보다 관련 법적사항이 많으며, 수치적 기준 또한 많아 관련 법적사항을 자세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번 글에서는 부설주차장만을 다루며, 부설주차장의 설치 대상과 부설주차장 설치 시 필수로 설치해야 하는 전용주차구역의 설치대상, 설치대수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1. 부설주차장 설치 대상 - 부설주차장 설치·지정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도시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자체 조례로 정하는 관리지역에서 건축물, 골프연습장, 그.. 2023. 8. 29.
주차장법 파헤치기 ① (주차장 용어 정의, 노상·노외·부설주차장 차이점, 노상·노외주차장 설치기준) 일반적으로 건물을 지을 때 주차장의 규모를 산정하고 위치를 배치하는 것은 설계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건물에 딸린 주차장을 법적 용어로 부설주차장이라고 하며, 「주차장법」에 근거하여 설치대상, 주차대수, 설치기준 등의 기준에 맞게 계획하여야 한다. 「주차장법」에는 부설주차장 이외에도 노상주차장, 노외주차장, 기계식 주차장의 설치대상, 기준 등이 정의되어 있다. 이번 글에서는 부설주차장을 살펴보기에 앞서 주차장 관련 용어의 정의, 노상·노외·부설주차장의 차이점, 노상·노외주차장의 설치기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주차장 관련 용어 정의 "노상주차장"이란 도로의 노면 또는 교통광장(교차점광장만 해당)의 일정한 구역에 설치된 주차장을 의미한다. "노외주차장"이란 도로의 노면 및 교통광장 외의 장소에 설.. 2023. 8. 25.
건설기술인 배치기준(공사예정금액 규모별 건설기술인 자격, 예외사항, 배치시기) 건설기술인 배치기준은 「건설산업기본법」에 근거하여 건설공사에 배치된다. 건설공사에서 건설기술인의 배치 공사의 대상, 건설기술인 자격, 배치 예외사항 등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용어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건설사업자"는 「건설산업기본법」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등록 등을 하고 건설업을 하는 자를 말한다. "건설기술인"은 관계 법령에 따라 건설공사에 관한 기술이나 기능을 가졌다고 인정된 사람을 말한다. 1. 공사예정금액 규모별 건설기술인 기준(경력, 자격) (1) 법적 기준 건설산업기본법 제40조에 따라 건설사업자는 건설공사의 시공관리, 기술 상 관리를 위해 건설공사 현장에 건설기술인을 1명 이상 배치해야 한다. 배치된 건설기술인은 발주자의 승낙없이 건설공사 현장을 이탈해서는 안된다. 다만, 예외적.. 2023. 8. 24.
건축물 방화구획 성능강화 법규개정(건축법 시행령,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 건축물의 화재 발생으로부터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건축법 시행령」,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의 개정안이 입법예고(23.8.22.~23.10.1.) 되었다. 이번 글에서는 「건축법 시행령」,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의 개정이유와 화재안전 강화를 위해 개정되는 주요내용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1. 개정이유 우선 「건축법 시행령」 개정이유는 건축물 화재안전에 사각지대가 없도록 방화구획의 시공관리 기준 강화, 피난약자가 이용하는 소규모 의료기설 등의 내부마감재료 기준 강화, 내부마감재료에 대한 규정 명확화가 주요 목적이다.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이유는 내화채움구조 및 방화댐퍼 설치대상의 확대, 타 규정과 상충되는 소방관진입창,.. 2023. 8. 22.
주택건설공사 감리 파헤치기 ② (감리자 업무, 부실감리자 조치, 실태점검 항목, 감리자 업무협조) 이전 글에서는 주택건설공사 단독주택 감리대상, 공동주택 감리대상, 감리자 자격, 감리원 배치를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주택건설공사 감리자의 업무, 부실감리자 조치, 실태점검, 감리자 업무협조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감리자 업무 감리자는 「주택법」 제44조에 따른 감리자 업무를 주택건설공사 동안 수행하여야 한다. 주요 업무로 시공과 설계도서의 일치여부, 자재의 적정성, 각종 계획과 일치성 여부 확인 등으로 이루어진다. 세부적으로 감리자의 업무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공사가 설계도서에 맞게 시공되고 있는지 ⓑ 건축자재가 각종 법령에 맞는 건축자재로 사용되고 있는지 ⓒ 「건설기술진흥법」 제55조에 따라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에 따라 품질시험을 하였는지 여부 확인 ⓓ 마감재 및 제품이.. 2023. 8. 22.
주택건설공사 감리 파헤치기 ① (단독주택 감리대상, 공동주택 감리대상, 감리자 자격, 감리원 배치) 주택건설공사의 감리제도는 일반 건설공사의 감리제도와 구분되고 있다. 관련 근거 법령, 감리자 지정, 감리자 업무 내용 등이 다소 상이하기 때문에 일반 건물을 짓는지, 공동주택을 짓는지에 따라 감리 업무가 달라짐을 유의하여 공사를 수행해야 한다. 1. 주택건설공사 감리 지정 대상 주택건설공사의 감리 업무는 「주택법」, 「주택법시행령」, 「주택건설공사 감리업무 세부기준」에 근거한다. 주택건설공사에서 감리자를 지정해야 하는 대상은 크게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대상, 리모델링 허가대상이다.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대상은 단독주택은 30호 이상, 공동주택은 30세대 이상인 경우 사업계획승인권자에게 사업승인을 받아야 하며, 건설공사 시 감리자를 "「건축사법」,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른 감리자격이 있는 자"로 지정하여야 한.. 2023. 8. 21.
상주감리 파헤치기(책임상주감리, 상주감리, 비상주감리) 1. 감리 용어정리 건축 공사감리는 「건축법」, 「건축법시행령」, 「건축법시행규칙」, 「건축공사 감리세부기준」, 「건설기술진흥법」을 따른다. 공사감리의 세부기준을 이해하기에 앞서 관련 용어정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공사감리"는 「건축법」 정의에 따라 건축물, 건축설비 또는 공작물이 설계도서 내용대로 시공되는지 확인하고, 품질관리, 공사관리, 안전관리 등에 대해 지도 감독하는 행위이다. 공사감리는 책임상주감리, 상주감리, 비상주감리로 구분한다. "책임상주감리" 는 공사감리자가 다중이용건축물 공사의 설계도서대로 시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건설기술진흥법」의 건설기술용역업자나 건축사를 전체 공사기간 동안 배치하여 품질관리, 공사관리, 안전관리 등을 기술지도하며, 건축주의 권한을 대행하는 감독업무를 하는.. 2023. 8. 17.
콘크리트, 철근 비파괴검사(NDT) 파헤치기(건물안전검사, 철근누락검사) 1. 건물 안전검사 방법(파괴검사, 비파괴검사) 일반적으로 건물의 안전성은 콘크리트의 강도, 철근 배근, 철근 부식, 구조물 변형 등을 조사하여 평가한다. 콘크리트 강도는 적정한지, 철근 배근은 적정한지, 철근은 녹슬지 않았는지, 변형된 것은 없는지 등 이미 지어진 건물이 안전한지 확인하는 방법은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 준공된 건물의 안전과 성능을 검사하는 방법은 크게 파괴검사와 비파괴검사로 구분된다. 파괴검사(Destructive Testing)는 구조물 코어(Core)부의 샘플(Sample)을 채취하여 콘크리트 강도와 철근 안전성 등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직접 건물에서 샘플을 채취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조물에 부정적 영향(변형, 결함 등)을 미칠 수 있어 대부분 사용하지 않는 방식이다. 비파괴검사(No.. 2023. 8. 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