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건설기술진흥법3

건설공사 품질관리 파헤치기 ② (품질관리 건설기술인 배치기준, 품질관리 업무, 품질검사 대행, 품질시험 및 검사의 실시) 지난 글에서는 품질관리계획과 품질시험계획 수립대상, 수립내용, 수립절차에 대해 살펴보았다. 2023.09.06 - [분류 전체보기] - 건설공사 품질관리 파헤치기 ① (품질관리계획 vs 품질시험계획 - 수립대상, 수립내용, 수립절차) 건설공사 품질관리 파헤치기 ① (품질관리계획 vs 품질시험계획 - 수립대상, 수립내용, 수립절차) 이번 글에서는 건설공사의 품질관리 관련 기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수한 시공을 위해 건설사업자 또는 주택건설업자는 공사 전반의 품질을 관리해야하는 의무가 있다. 건설기술진흥법에 의 know-how-space.com 이번 글에서는 품질관리자 배치기준, 품질관리자 업무, 품질검사 대행, 품질시험 및 검사 실시 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품질시험 및 검사는 한국산업표준, 건설기준,.. 2023. 9. 6.
건설공사 품질관리 파헤치기 ① (품질관리계획 vs 품질시험계획 - 수립대상, 수립내용, 수립절차) 이번 글에서는 건설공사의 품질관리 관련 기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수한 시공을 위해 건설사업자 또는 주택건설업자는 공사 전반의 품질을 관리해야하는 의무가 있다. 건설기술진흥법에 의거하여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을 수립해 공사를 관리하거나 품질관리자를 배치하여 관련 업무를 수행하게 해야 한다. 또한 품질관리업무를 국토부 고시 「건설공사 품질관리 업무지침」에 따라 수행해야 한다. ※ 관련근거 : 건설기술진흥법 제55조, 시행령 제89조, 시행규칙 별표5, 건설공사품질관리업무지침 품질관리계획과 품질시험계획의 차이점을 우선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품질관리계획 수립대상과 품질시험계획의 수립대상, 수립내용의 차이를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1. 품질관리계획 vs 품질시험계획 수립대상 - 건설사업자와 주택건설.. 2023. 9. 6.
상주감리 파헤치기(책임상주감리, 상주감리, 비상주감리) 1. 감리 용어정리 건축 공사감리는 「건축법」, 「건축법시행령」, 「건축법시행규칙」, 「건축공사 감리세부기준」, 「건설기술진흥법」을 따른다. 공사감리의 세부기준을 이해하기에 앞서 관련 용어정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공사감리"는 「건축법」 정의에 따라 건축물, 건축설비 또는 공작물이 설계도서 내용대로 시공되는지 확인하고, 품질관리, 공사관리, 안전관리 등에 대해 지도 감독하는 행위이다. 공사감리는 책임상주감리, 상주감리, 비상주감리로 구분한다. "책임상주감리" 는 공사감리자가 다중이용건축물 공사의 설계도서대로 시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건설기술진흥법」의 건설기술용역업자나 건축사를 전체 공사기간 동안 배치하여 품질관리, 공사관리, 안전관리 등을 기술지도하며, 건축주의 권한을 대행하는 감독업무를 하는.. 2023. 8. 1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