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건축법4

건축물대장이란? (건축물대장 관련법, 작성방법, 기재내용, 발급방법) 건축물에 대한 기초자료 및 관련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건축물대장이라고 한다. 건축물에 대한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모든 건축물에 대해 건축물대장을 만들어 관리하고 이를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자유롭게 모든 사람이 건축물대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건축물대장은 무엇이고 근거 법령, 건축물대장 관리규칙, 건축물대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내용, 관련 용어, 건축물대장 발급 방법 등을 자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1. 건축물대장이란? (1) 건축물대장이란? 건축물대장은 건축법 제38조에서 건축물의 소유, 유지관리 등을 확인하거나 건축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건축물의 현황, 대지 현황 등을 기입하여 관리하는 서류이다.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 2023. 10. 6.
건축신고 vs 건축허가 파헤치기 ③ (공작물 축조 신고대상·제출서류, 구조안전확인 대상) 이전 2개의 글에서 건축신고와 건축허가의 대상, 제출서류 등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2023.09.12 - [분류 전체보기] - 건축신고 vs 건축허가 파헤치기 ① (건축신고 대상, 건축허가 대상, 건축허가 불허, 건축허가 취소) 건축신고 vs 건축허가 파헤치기 ① (건축신고 대상, 건축허가 대상, 건축허가 불허, 건축허가 취 1. 건축신고 대상 - 아래 항목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건축신고시 건축허가를 받은 것으로 본다. ⓐ 바닥면적 합계가 85㎡ 이내의 증·개·재축 (3층 이상 건축물인 경우 증·개·재축하려 know-how-space.com 2023.09.13 - [분류 전체보기] - 건축신고 vs 건축허가 파헤치기 ② (건축신고 제출서류, 건축허가 제출서류) 건축신고 vs 건축허가 파헤.. 2023. 9. 14.
건축신고 vs 건축허가 파헤치기 ① (건축신고 대상, 건축허가 대상, 건축허가 불허, 건축허가 취소) 1. 건축신고 대상 - 아래 항목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건축신고시 건축허가를 받은 것으로 본다. ⓐ 바닥면적 합계가 85㎡ 이내의 증·개·재축 (3층 이상 건축물인 경우 증·개·재축하려는 부분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건축물 연면적의 10%이내로 한정한다.) ⓑ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에서 연면적 200㎡ 미만 & 3층 미만 건축물의 건축 (단, 지구단위계획구역, 재해취약지역 - 방재지구, 붕괴위험지역의 건축은 제외) ⓒ 연면적 200㎡ 미만 & 3층 미만 건축물의 대수선 ⓓ 아래 항목의 대수선 ㉠ 내력벽의 면적을 30㎡ 이상 수선 ㉡ 기둥 세 개 이상 수선 ㉢ 보 세 개 이상 수선 ㉣ 지붕틀 세 개 이상 수선 ㉤ 방화벽 또는 방화구획을 위한 바닥 또는 벽 수선 ㉥ 주계단·피난계단 또는 .. 2023. 9. 12.
건축법 용어 파헤치기 ① (대지, 도로, 건축, 신축, 증축, 재축, 개축, 이전, 대수선, 리모델링, 실내건축) 건축법의 제정 목적은 건축물의 대지·구조·설비 기준 및 용도 등을 정하여 건축물의 안전·기능·환경 및 미관을 향상시킴으로써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건축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건축법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용어의 정확한 의미, 인정되는 범위 등을 먼저 파악하고 관련 기준들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건축법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대지, 도로, 건축, 신축, 증축, 대수선, 리모델링 등 대지와 건축 관련 용어의 정의와 범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1. 대지 관련 (대지, 도로 등) (1) "대지"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각 필지로 나눈 토지를 말한다. 일부 토지는 둘 이상의 필지를 하나의 대지로 하거나 하나 이상의 .. 2023. 9. 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