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공사 품질관리 파헤치기 ② (품질관리 건설기술인 배치기준, 품질관리 업무, 품질검사 대행, 품질시험 및 검사의 실시)
지난 글에서는 품질관리계획과 품질시험계획 수립대상, 수립내용, 수립절차에 대해 살펴보았다. 2023.09.06 - [분류 전체보기] - 건설공사 품질관리 파헤치기 ① (품질관리계획 vs 품질시험계획 - 수립대상, 수립내용, 수립절차) 건설공사 품질관리 파헤치기 ① (품질관리계획 vs 품질시험계획 - 수립대상, 수립내용, 수립절차) 이번 글에서는 건설공사의 품질관리 관련 기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수한 시공을 위해 건설사업자 또는 주택건설업자는 공사 전반의 품질을 관리해야하는 의무가 있다. 건설기술진흥법에 의 know-how-space.com 이번 글에서는 품질관리자 배치기준, 품질관리자 업무, 품질검사 대행, 품질시험 및 검사 실시 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품질시험 및 검사는 한국산업표준, 건설기준,..
2023. 9. 6.
주차장법 파헤치기 ③ (주차구획 기준, 부설주차장 구조·설비 기준, 지하식 부설주차장, 건축물식 부설주차장)
이전 주차장법 파헤치기 2개의 글에서 노상주차장, 노외주차장, 부설주차장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 전용주차구역 설치대상 및 설치대수를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주차장을 만드는 데 있어 필수로 알아야 하는 수치적 기준을 자세하게 확인하고자 한다. 주차장의 주차구획에 대한 기준을 먼저 살펴본 후, 부설주차장의 구조 및 설비 기준 등을 살펴보도록 한다. 1. 주차장의 주차구획 기준 주차장 주차구획의 크기는 평행주차냐 평행주차 이외냐에 따라 달라지며, 세부적으로는 경형인지, 일반인지, 확장형인지, 장애인전용인지에 따라서도 주차구획의 크기가 달라진다. 주차구획을 그리는 경우 흰색 실선으로 표시해야 하며, 경형자동차 전용주차구획은 파란색 실선으로 표시해야 한다. - 평행주차 먼저 평행..
2023. 8. 30.
주차장법 파헤치기 ① (주차장 용어 정의, 노상·노외·부설주차장 차이점, 노상·노외주차장 설치기준)
일반적으로 건물을 지을 때 주차장의 규모를 산정하고 위치를 배치하는 것은 설계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건물에 딸린 주차장을 법적 용어로 부설주차장이라고 하며, 「주차장법」에 근거하여 설치대상, 주차대수, 설치기준 등의 기준에 맞게 계획하여야 한다. 「주차장법」에는 부설주차장 이외에도 노상주차장, 노외주차장, 기계식 주차장의 설치대상, 기준 등이 정의되어 있다. 이번 글에서는 부설주차장을 살펴보기에 앞서 주차장 관련 용어의 정의, 노상·노외·부설주차장의 차이점, 노상·노외주차장의 설치기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주차장 관련 용어 정의 "노상주차장"이란 도로의 노면 또는 교통광장(교차점광장만 해당)의 일정한 구역에 설치된 주차장을 의미한다. "노외주차장"이란 도로의 노면 및 교통광장 외의 장소에 설..
2023. 8. 25.